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akeus
- object
- 우아한테크코스
- CMC
- remove
- equlas
- 딕셔너리
- nestJS
- 이것이취업을위한코딩테스트다
- ssh-action
- Signature
- 이코테
- Payload
- CICD
- 동일성
- 우테코
- HashCode
- forloop
- loop
- 라이징캠프
- JWT
- 너디너리
- 컴공선배
- Hackathon
- github action
- 동빈북
- 동등성
- 나동빈
- 왕실의나이트
- 해커톤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nestJS (1)
iamjooon2님의 블로그

이전 프로젝트에서 배포를 담당했다. main 브랜치에 팀원들의 개발 내역이 머지되면, EC2에서 브랜치를 pull 하는 방식으로 배포를 진행했는데, 이 과정이 정말 너무나도 번거로웠다. 그래서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꼭 자동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야지 마음먹었다. 이번 프로젝트에서 적용했고, 그 대략적인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내가 구축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. 로컬 컴퓨터에서 깃허브의 저장소로 push했을 때 2. 깃허브 액션이 실행된다 3. 깃허브 액션에서 EC2에 ssh 접속을 한 후, 4. 작성해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- 스크립트 내용 4-1. 저장소를 클론해놓은 경로로 이동한 후 4-2. 지정한 branch를 git pull 한다 (업데이트 내역 반영) 4-3. 현재 실행중인 서버를 잠시 ..
카테고리 없음
2023. 1. 22. 21:30